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간편로그인
회원님의 아이디는 별별별별입니다.
비밀번호 변경 완료
비밀번호 변경이 완료되었습니다.
새로운 비밀번호로 로그인해주세요.
사시는 소아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국내 소아의 약 2% 정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사시는 두 눈의 정렬이 맞지 않아 서로 다른 방향을 보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는 한 눈은 제대로 초점을 맞추지만
다른 눈은 내측, 외측, 위쪽, 아래쪽으로 기울어지거나 편향됩니다.
사시는 선천적일 수도 있고 후천적일 수도 있으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시가 있을 경우, 두 눈이 동시에 동일한 물체를 바라보지 않기 때문에
깊이 인식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고,
이로 인해 시력 저하나 복시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시는 눈이 돌아가는 방향에 따라 종류가 구분됩니다.
밖으로 향하는 외사시, 안으로 몰리는 내사시,
위아래로 향하는 상사시와 하사시로 나뉘게 됩니다.
이 중 간헐성 외사시와 조절내사시가 흔히 발생합니다.
간헐성 외사시는 평소에는 이상이 없으나 피곤할 때, 멍하게 있을 때,
아플 때 한 눈이 바깥쪽으로 나갑니다.
조절내사시는 주로 원시로 인해 조절작용이 과도해져 눈이 몰리는 사시입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사용의 증가로 인해 10대 이후에
후천적으로 발생하는 내사시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상사시는 선천 4번신경 마비에서 주로 나타납니다. 선천성이지만 눈을 모으는 힘이 좋을 때는
나타나지 않다가 나이가 들거나 외상, 스트레스 등에 의해 어느 순간 균형이 깨지면
상사시나 복시, 고개기울임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한쪽 눈이 바깥쪽으로 돌아가면서
다른 눈과 일치하지 않는 상태
한쪽 눈이 안쪽으로 돌아가면서
다른 눈과 일치하지 않는 상태
한쪽 눈이 위쪽으로 기울어져
다른 눈과 일치하지 않는 상태
한쪽 눈이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다른 눈과 일치하지 않는 상태입니다.
아이가 아래와 같은 증상을 보인다면 사시를 의심해보야 합니다.
피곤하거나 먼 곳을 볼 때 한쪽 눈의 초점이 맞지 않는다
고개를 기울이거나 옆으로 돌려서 물체를 본다
물체가 두 개로 보인다
이유 없이 눈을 자주 비비고 깜빡거린다
눈동자의 위치가 이상하다
밝은 햇빛에 한쪽 눈을 찡그리고 눈이 부시다고 한다
눈이 자주 충혈되고 눈꼽이 많이 끼며 눈물이 늘 고여 있다
사시 치료는 정도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굴절이상을 동반한 사시인 경우 적절한 안경이나 교정 렌즈를 사용해
눈의 초점을 맞추고 사시를 교정할 수 있습니다.
특히 조절성 사시의 경우, 안경이 중요한 치료 방법입니다.
약시가 있는 경우에는 수술 전 약시를 교정해야 합니다.
시력이 좋은 눈을 가려 약시가 있는 눈의 시력 발달을 돕는 치료 방법입니다.
양쪽 눈의 시력이 비슷할 때까지 수개월 혹은 수년 동안 꾸준히 진행해야 하며 나이가 어릴수록 치료효과가 높습니다.
비수술적 방식으로 치료되지 않을 경우 수술을 하게 됩니다.
사시 교정 수술을 한 눈 혹은 두 눈의 외안근의 장력을 조정해 안전하고 복잡하지 않은 수술입니다.